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아이디어

자원봉사의 지평을 넓혀갈 번뜩이는 아이디어는 무엇이 있을까요?

로케이션 네비게이션

섬네일 샘플

기존의 점조직 자원봉사 활동에서 단일조직의 체계화

중요한 것은 일에 쏟아 붓는 시간이 아니라 시간을 쏟아 붓는 일 그 자체다. -샘 유잉
흩어진 자원봉사 단체에서 모이는 연합, 이후 더 커진 만족감, 개인 봉사 크기를 벗어나자!

  • 하회탈씨
  • date_range 2023.09.06
  • textsms 0

event_note 아이디어를 생각하시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요?

저는 기존의 자원봉사 형태를 뒤돌아 보자면 각 지역별로, 각 행사별로 등 그 단체에서 개최하는 일회성 이벤트라고 생각합니다.
단순히 일회적인 봉사로 끝나는게 아닌, 지속적이고 체계화된 집단에서 실행하는 행동이 살아남고 더 큰 만족감을 줍니다.
매슬로의 5대 욕구에서도 기본적인 욕구 충족 이후 찾아오는 소속감과 애정욕구 그 이후 마지막으로 찾아오는 자아실현욕구를 충족시키는 활동으로 발전해야 한다 생각했습니다.
또한 자원봉사를 어떻게 해야하나? 라는 질문이 아닌 자원봉사의 스케일을 키우는데 초점을 맞췄습니다.

샘플 이미지

event_note 아이디어는 무엇이고 어떻게 실행하면 좋을까요?

저는 봉사활동을 어릴 때 부터 많이 참가했습니다. 월드비전, 학교에서 하는 봉사 등 말이죠. 특히나 월드비전같이 각 지부별로 흩어져 있는 봉사단체에서 했던 경험이 참 기억에 남습니다.
각 지부별로 흩어져 산발적이지만 같은 시기에 시작되는 봉사활동은 그 결과값이 다르리라 생각합니다. 한명이 다트를 한개씩 던지는 것과 100명이 모여 다트 한개씩 던지는 것, 그 면적의 차이는 어마어마할테니 까요.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고 집단에 소속하고 싶어합니다. 그렇기에 자원봉사단체 1,2,3... 등 여러 단체에서 추구하는 바가 다르고 하는 일도 다르지만 점 조직형태의 기존과 차이없는 행보보다는 탄소중립과 녹색성장이라는 한가지 키워드 아래 모인 거대한 단일조직의 일관된 움직임을 통해 사회 모습을 변화시킬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정부 역시 2050년까지 온실가스 감축등의 청사진을 그리고 있는 추세이고 이는 더 늘어날 전망으로 보입니다. 환경단체로 잘 알려진 '그린피스'조차 처음에는 12명의 사람들로 모여 이뤄졌습니다. 사람이 모이고 조직이 커지다 보면 분명히 잡음도 생기고 생각대로 잘 돌아가지 않는 문제가 분명히 생길것이지만, 전국적으로 표본의 확대, 그에따른 개인에게 소속감 부여는 무시할 수 없는 시너지를 이뤄낼 것입니다.
가장 먼저 흩어져 있는 단체들의 연합 봉사부터 시작을 거쳐 ( ex: 8.15 광복절 기념 플로깅 - 서울 경기 지역 / 식목일 나무 심기 - 각 구별로 3팀씩 묶어서 시단위로) 점점 그 파이를 키워나가는 모습을 통해 국민들의 참여를 증진하고 조직 자체가 훌륭한 홍보수단으로 발전할 수 있는 그런 조직의 모습을 제시해봅니다. 또한 각 분기별 최다 참여자, 혹은 최고 기여자 같은 경우 명예 훈장과 더불어 지역상품권을 지급한다는 등 개인의 참가 의지를 고취시키고 지역발전에도 이바지한 자원봉사라는 타이틀을 벗어나지 않는 적절한 보상의 선정 역시 개인이 지속할 수 있는 필수조건이라 생각합니다. 결국 무엇을 하냐에 초점을 맞추기 보단 기존의 생각에서 더 나아가 누가 하는지에 대한 의견에 대해 좀 더 생각해보았으면 좋겠습니다.

샘플 이미지

event_note

event_note

event_note

textsms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댓글폼

댓글

Copyright © (재)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 2021.
All Right Reserved.

닫기